-
미용고객의 마음을 움직이고 싶다면컬쳐스타일 2024. 12. 27. 16:48반응형
요점부터 말해라 _효과적인 설득공식
처음에, 당신에게 집중하게 해야 한다.
고객(대화의 상대방)을 자신에게 집중시킨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곳에 쏠려있는 고객의 관심을 차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고객과 상담을 시작하려고 할 때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고객의”관심 끌기” 다. 이때 질문은 상대방의 관심을 자기자신 에게 가져오기 위한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상담 첫 단계에서 주제와 관련된 질문을 하게 되면 쉽게 관심을 끌고 본론으로 들어가기 쉽다. 어떤 상황, 어떤 경우이든지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대화의 구성은 다음의 4단계가 가장 효과적이다
“요점(결론)부터 말한다.”
구성 내용 사례 <1>
관심 끌기고객의 관심(주의)을
디자이너(나)에게 집중시키는 말이나 행동*관심끌기 “이거 들어보셨어요?(놀라셨죠?”
-질문이나 행동(물건이나 사진 보여주기)
-주제와 연관이 있는 내용이면서도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이어야 함
(페러디 ,유명 광고카피를 활용하기도 함)
-주제와 동떨어진 관심 끌기는 낚시로 전락
<2>
요점강조
(소결론)핵심내용을 한마디로 강조
-내가 하고자 하는 주제의 요점을 먼저 말한다*소결론-”거두절미 하고 내 말을 들으세요”
-오늘 주제와 같다. 듣는 사람은 ‘아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구나’ 눈치 채지만 관심끌기 질문의 영향으로 아직 호기심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대화를 끊거나 거부하지 않는다.
-다음 이야기에 기대를 갖는다.
<3>
사례설명타당성의 강조
“왜 내가 이런 주장을
하는지 다 이유가 있습니다.”*사례”내가 왜 이런 주장을 하는지 말해드리죠”
*제안내용을 입증하는 객관적 사례 한 두 가지
-지금 고객의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
-최근 만족하신 고객의 경험담
-인터넷 검색어 1위 등 객관적 증거
*스크랩북이나 기타 자료(뉴스) 활용
<4>
마무리
결론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이것”
구매를 결정하게 하는 마무리*결론”그래서 이렇게 하면 됩니다.(구체적행동)”
*구체적인 선택,제안사항 고객의 행동제안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될 이유 말해주기
*지금 하지 않으면 손해가 되는 점 /할인혜택*내 주장을 펴기 위한 대화는 “기-승-전-결”의 구성이 아니라 “기-결(小)-승-결(大)”의 구성이 좋다. 32과 상담의 기본 모델 3단계에서 고객에게 해법을 제안할 때 이 4단계의 논리로 대화를 전개한다.
*실제 멘트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여러 가지로 응용한다. 다만 이 구성 단계를 습관으로 익혀 놓으면 고객상담이나 발표나 연설 기타 여러가지 상황에서 내 주장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INK & ACT
*첫 질문은 “그게 뭔데요?” 할 정도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질문이 좋지만 앞으로 말하려고 하는 주제와 너무 동떨어지게 되면 (개연성이 없으면) 고객은 오히려 “무슨 얘기지?” 하면서 다시 자기 생각에 빠지게 된다.
-첫 단계 “관심을 끄는 질문”은 디자이너에게는 어려운 일이 아니다. 미용실에서 고객의 패턴과 스타일을 조금만 연구해보면 고객들이 반응하는 질문의 내용이나 패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몇 가지만 준비하고 있어도 어떤 경우 어떤 고객이든 초반에 디자이너에게 집중시키고 모든 상담을 리드해 나갈 수 있다..
-4단계 방식의 설득은 고객이 쉽게 몰입하게 만들어주고 더불어 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도 확실하게 높여준다.
[sample]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고 싶으신가요?"
1단계: 관심 끌기
왜 중요할까요? 처음 몇 초가 가장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시선을 사로잡고, 흥미를 유발해야만 다음 이야기를 들어줄 준비가 됩니다.
어떻게 할까요?
예상치 못한 질문: "혹시 오늘 아침에 어떤 일이 있었나요?"
공감대 형성: "요즘 날씨가 너무 덥죠? 저도 에어컨 없이는 못 살겠더라고요."
시각적 자료 활용: 흥미로운 이미지나 짧은 영상을 보여주세요.2단계: 요점 강조
핵심 메시지 전달: 복잡한 내용보다 간결하고 명확한 메시지가 더 효과적입니다.
예시: "오늘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바로, 우리 제품이 고객님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3단계: 사례 설명
믿음을 주는 증거: 객관적인 데이터, 성공 사례, 전문가의 의견 등을 제시하여 신뢰도를 높입니다.
예시: "실제로 저희 제품을 사용한 고객의 90%가 만족도를 나타냈습니다."4단계: 마무리
행동 유도: 구체적인 다음 단계를 제시하여 상대방의 결정을 돕습니다.
예시: "지금 바로 상담을 신청하시면 특별 할인 혜택을 드립니다."반응형'컬쳐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덤프 인스타의 새로운 트랜드 (5) 2025.04.07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스토리텔링 완성도가 만든 예술 (3) 2025.03.30 헤어디자이너는 고객의 욕구를 디자인한다. (0) 2024.11.28 헤어디자니어의 매출은 신뢰의 크기이다. (4) 2024.11.22 목적이 다른 미용 상담과 세일즈 (5) 2024.10.02